지난 6월 진행한 ‘정부사업 지원금 +50억 받은 스타트업들의 노하우 대공개’ 웨비나에 많은 분이 참여해 주셨습니다. 웨비나 종료까지 200여 분이 참여하셔서 정부사업 지원금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세 대표님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꿀팁들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웨비나 진행 시간상 미처 답변드리지 못했던 질문들이 많아 저희도 아쉬웠답니다.
아쉬운 마음이 조금이나마 덜어질 수 있도록, 실시간 채팅 질문과 사전/사후 조사에서 남겨주신 질문들, 라이브에서 답변드렸던 질문들까지 하나로 모아봤습니다.
- 정부사업 어떻게 찾나요? Fit한지 빨리 아는 방법?
김유리안나 대표: K-Startup, 기업마당 등에 있는 사업 필터링 기능을 활용하고, 사업개요에 업종, 분야 등이 잘 정리되어 있어서 많이 보다 보면 경험적으로 지원 가능 여부를 알 수 있다. 다만 매주 11,000개씩 사업이 나오기 때문에 모두 확인하기 어려워 웰로비즈를 만들었다.
- 사업계획서 작성법, 차별화 전략, 발표 노하우, 합격 꿀팁, 작성시 유의사항
장진혁 대표: 발표 노하우는 반복해서 연습하는 수 밖에 없다. 사업계획서와 차별화 전략은 멘토링을 많이 받아 완벽하게 만들어가야 한다. 멘토링을 주저 없이 받았으면 좋겠다.
(장진혁 대표님의 사업계획서 작성 노하우는 웨비나 다시보기 영상(16분 36초)에서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정부사업과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과 차이가 있는 경우?
김수연 대표: 지원사업만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은 없다. ‘현재 우리 사업 중 어느 부분을 지원사업 수행기간동안 성공시킬 것이다.’라는 것을 진정성 있게 설명·설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량적 지표를 잘 선정하고, ‘전체 BM(Business Model) 중 현재 어느 단계에 있고, 지원사업 성과가 다음 단계로 가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 과제 운영관리, 인력채용, 페이퍼 작업 노하우, 사업계획서나 자금사용계획 얼마나 변경 가능한가?
김수연 대표: 사업 초기라면 휴대폰 전화 요금제 무제한으로 설정하길 바란다. 정부지원사업이 하나로 포맷화 되어있지 않고, 매년 다른 사업, 다른 담당자, 다른 운영방식으로 진행된다. 모호한 부분이 있다면 담당자에게 10번씩 전화해 무조건 물어봐야 한다.
자금사용 계획에 대한 팁이 있다면 모든 비용이 대부분 인건비로 변용 가능하니, 인건비를 적게 잡아두고 다른 비목으로 채운 이후에 추후 변동 요청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중복사업 피하는 방법?
김유리안나 대표: 사업별로 지원 내용 밑에 제외사업 표가 있을 때도 있고, 이와 유사한 사업들을 진행한 경우라고 나와 있는 경우도 있다. 가장 편하고 강력하고 심플한 방법은 직접 전화해 물어보는 것이다.
매주 11,000개의 다양한 사업들을 모두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추후 웰로비즈에 구조화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 공고예정 사업 어떻게 알 수 있나? 단계별/연간 계획은?
김유리안나 대표: 공고 예정 사업은 중기부·산업부·과기부 등에서 발표하는 연간 사업 진행 계획표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 예비창업단계, 초기창업단계별로 진행할 수 있는 사업들이 정리되어 있다.
추경(추가경정예산, 예산이 성립한 후에 생긴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이미 성립된 예산에 변경을 가하는 예산)으로 나오거나 민간에서 나오는 사업들은 각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실상 계획을 하는 것은 어렵고, 나오는 즉시 스윙을 칠 수 있도록 미리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 중요하다.
김수연 대표: 웨비나 중에 말씀드렸지만, 미리 좋은 파트너풀을 만들어 두어야 사업 일정에 대처가 가능하다.
(김수연 대표님이 파트너풀 관련 내용은 웨비나 다시보기 영상(13분 24초)에서 더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정부지원사업 트렌드는?
장진혁 대표: ESG가 핫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정부지원사업뿐만 아니라 VC 투자자들도 ESG펀드가 따로 생길 만큼 파이가 커지고 있다.
- 매출이 없는 초기 스타트업이 만회할 수 있는 방법은?
장진혁 대표: 매출이 없어도 레퍼런스는 만들 수 있다. 본인이 하고자 하는 사업의 레퍼런스이므로 어느 정도 MVP(Minimum Viable Product, 창업자의 아이디어를 작동이 가능한 최소한의 핵심 기능만을 탑재한 프로그램 또는 제품을 의미)까지 만들어 놓고, 스토리를 만들어갈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는데 집중하면 좋겠다.
김유리안나 대표: 저희도 예비창업패키지 끝날 때까지 매출이 0원이었다.
김수연 대표: 매출이 아니더라도 어디와 MOU 관계를 맺거나, 구매의향처를 확보하는 것들도 증빙자료로 도움이 된다.
- 떨어진 정부사업, 그 이유는?
김수연 대표: 확실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 이유는 없다. 트렌드, 선정 분야, 비슷한 모델이 이미 선정되어 T/O(Table of Organization, 정원)가 없는 경우 등 다양한 요인들이 엮여있어 설명하기 어렵다. 하지만 많이 지원하면 많이 붙는다는 것은 확실하다.
-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같은 정부지원사업에서 받은 가산점이 있는지?
김유리안나 대표: 웰로의 경우 예창패, 초창패 둘 다 가산점은 없었다. 경험 상 가점은 받을 수 있으면 받는 것이 좋지만 당락을 결정할 만큼은 아니라고 들었다.
- 예창패 선정되었을 때 순수 아이디어 단계였는지, 아니면 시제품이나 MVP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어느 정도 수준이었는지?
김유리안나 대표: 예창패에 선정될 때, 프로덕트는 없었지만 화면 UI/UX는 디자인한 상태였다. 그 디자인으로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를 상세히 풀어내 성장전략을 담았었다.
예창패는 프로덕트의 완성도를 보는 것이 아니고, 지금의 구상을 어떻게 실현시킬 것이라는 논리를 탄탄하게 가져간 것이 비법이라고 생각한다.
- 정부사업 중 창업자에게 소득을 지원해주는 사업은 아직 찾지 못했는데, 매출이 없는 시기에 버틸 수 있었던 노하우가 있는지?
김유리안나 대표: 예창패만 월 증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업화비용 50만 원을 지원하나, 중기부 지원사업 대부분은 대표자 소득을 지원하지 않는다.
다만 지자체의 지원사업들은 창업자의 인건비를 계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제 인건비를 계상했던 사업 모두 지역 산하기관의 지원사업들이었다.
매출이 없는 시기에 초기에는 퇴근하고 자체 프로젝트를 한 시기도 있었지만, 본 업무에 방해가 되어 2주 만에 그만뒀다. 지출부터 줄이고 개인적인 시간에 지원사업·공모전 등에 다 지원해서 그 자금으로 버텼다. 자금도 받지만, 사업 아이템을 고도화하는 데에도 중요한 경험이 된다고 생각한다.
- 지원사업으로 자금확보 시 융자/지원금 모든 경우 기업가치에 반영이 되는지? 어떤 식으로 반영되는지?
김유리안나 대표: 지원사업 자금확보는 말 그대로 자금확보만으로 판단되어 기업가치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다만 투자자와의 기업가치 협상 시 “지원사업을 통해 확보한 자금이 총 OO원이고, OO개월 정도의 Runway를 확보한 상황이다.”라고 하면, 협상력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는 있다.
- 초창기 팀빌딩 노하우가 있는지?
김유리안나 대표: 초기 팀빌딩은 정답이 없지만, 저는 '필요한 롤을 정의하고 그 분이 계신 곳을 집중적으로 찾아서 피칭해서 설득하고 모셔온다.'는 것에 집중했다.
저는 초기 창업멤버가 전부 흩어지고 혼자 남은 상황에서 개발자를 모셔야 하는 상황이었다. 학생창업자였기 때문에 학교 개발동아리에 가서 피칭했었고, 캠퍼스타운에 등록된 개발자 명단을 요청해 일일이 전화하고 만나 달라 했었다.
이후 고경력 개발자를 모시고 싶은데 주위에 아무도 없어서, 온갖 커뮤니티를 찾아다니며 오전~오후에는 일하고 밤에는 오퍼 미팅을 다녔다. 리멤버, 비긴메이트 등등 매일 아침·저녁으로 확인하며 입사 제안을 드리고 기업소개 미팅을 했다. 지금 CTO님이 29번째로 만나 뵙고 합류한 분이시다.
정답은 없지만 방법은 명확하다. 1) 우리 기업 비전을 설득하고 합치하는 분이면서 2) 회사에서 필요한 역할을 해주실 수 있는 분. 2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분을 만날 때까지 찾아다니는 것이 가장 오래 걸릴 것 같지만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위 답변들이 예비·초기창업자 등 정부사업을 지원하고 계신 모든 분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다음 웨비나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웨비나 다시보기: https://youtu.be/_Jyk-s1JyTw
웨비나 후기: https://www.wellobiz.com/customerSupport/10/14/60
'4. 이벤트, 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스타트업은 꼭 들어야 하는 AWS CEO Masterclass 참관 후기 (0) | 2022.09.22 |
---|---|
초기 스타트업 필수 특강, AWS CEO Masterclass 참여 신청하세요! (0) | 2022.09.08 |
연간 플랜 구독하면 30일 무료 이용권 1+1 (기업 초대 이벤트) (0) | 2022.08.10 |
웰로비즈가 NextRise 2022에 참가했습니다! (0) | 2022.07.08 |
웰로비즈의 '정부사업 지원금 +50억 받은 스타트업들의 노하우 대공개' 첫 웨비나 후기 (0) | 2022.07.08 |